[독후감]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 / 대통령, 리더, 외교 종사자가 읽어야할 필수 교양서
이 포스팅을 읽기 전 참고 사항- 개인적인 후기일 뿐,독서 전 반드시 참고할 건 아니니가볍게 읽기를 바란다. -책의 내용이 일부 포함되어 있다. 유라시아의 지정학적 중간국 외교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총서 47지은이 : 신범식, 윤민우, 김규남, 최경준, 박정후, 강봉구, 이지은, 정세진펴낸 곳 : 사회평론아카데미펴낸 날 : 2022년 7월 아제르바이잔의 국내적 수준의 요인들과 외교정책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제르바이잔의 국민정체성은 아제르바이잔의 외교정책에 영향을 미친다. 아제르바이잔인들이 가지는 터키와의 연대의식과 반러시아 정서는 아제르바이잔이 친터키, 친서방 외교 정책을 추진하도록 하는 동력이 된다. 하지만 이 반러시아 정서는 반 러시아 외교정책으로 이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