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후감] 디 앤서 : 어느 월스트리트 트레이더의 다이어리 / 투자시장에서 살아남는 건 개인이 될 수도 있다

728x90
반응형

 

이 포스팅을 읽기 전 참고 사항​​​​

​​​​- 개인적인 후기일 뿐,

독서 전 반드시 참고할 건 아니니

가볍게 읽기를 바란다. ​​​​​​

​-책의 내용이 일부 포함되어 있다

디 앤서 : 어느 월스트리트 트레이더의 다이어리

지은이 : 뉴욕주민 (지은이)

출판사 : 푸른숲

출판일 : 2021-12-15

파트 1은 자신의 회사 입사기를 얘기한다. 살아온 인생과 함께. 2008년 모기지 사태 이후 원 달러 가치가 폭락하면서 대학 등록금의 부담이 커지게 되었고 급히 조기졸업을 택하는 방법 밖에 없던 저자의 삶에서 시작한다. 그리고 맥킨지, 투자은행 m&a 부서, 헤지펀드 첫 인터뷰 탈락후기까지 커리어에 대한 부분이 서술된다.

가치함정에 빠지는 헤지펀드 매니저들의 공통점은 펀더멘털 가치에 대한 강한 확신과 시장 흐름과의 괴리를 해석하고 분석할 때 자신이 가진 확신편향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는 점이다. 늦게나마 가치함정에 빠진 주식이라는 시그널이 보이면 빠르게 포지션을 조정해야 하는데 늘 타이밍을 놓치는 이유는 '언젠가는 시장이 알아보겠지' 와 ‘나는 틀리지 않았어'가 섞인 자기 확신편향 때문이다. 나는 이러한 실수를 반복하다 펀드를 떠난 펀드매니저, 트레이더들을 숱하게 보아왔기 때문에, 가치함정이라는 높에 빠지지 않도록 끊임없이 내가 구축한 포지션에 대해 자가진단을 한다. 그리고 오래 보다 보면 객관성을 잃을 수도 있으니 전혀 다른 섹터를 담당하는 애널리스트들 에게 물어보며 재차 검증을 받는다.

Part.3 절대수익을 추구하는 헤지펀드 매니저들 -나는 틀리지 않았어 143p

자신의 투자 시나리오, 포트폴리오가 제대로 작동될 때의 경험이 쌓이면 쌓일수록 확신편향이 생길 수밖에 없다. 경험은 편견을 만든다. 그 경험이 성공적이었다면 더 강한 편견을 낳는다. 투자의 경우, 편견이 없어야 한다.

시장이란 단어를 바꾸어 말한다면 불확실성으로 말할 수 있는데, 언제고 나의 투자 시나리오는 시장의 선택을 받지 못할 수 있음을 생각해야 한다. 매일매일을 그 마음을 갖고 투자에 임해야 하는데, 전문가조차 망각의 늪에 빠져 실수한다는 거다.

투자시장에서 전문가고 개인 투자자고 모두 똑같다. 결국 당일, 마감 때 수익을 낸 사람이 승자다. 투자 경력이 오래되어도 초심자가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다. 유연하게 포트폴리오를 수정할 수 있는 감각적인 판단도 중요한 능력이다.

이 점을 통해 우리와 같은 개인 투자자도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는 이야기로 말할 수 있다.

트레이딩 제1원칙은 분할매매다. 특히 시스템 트레이딩을 할 수 없는 개인 투자자들에게는 가장 기본 중에 기본인 원칙이다. 분할매매의 가장 큰 이유는 감정의 배제다. 특정 종목의 매수 • 매도에 있어서 필연적으로 경험하게 될 주가의 잦은 등락과 시장 전체적인 변동성에서 평정심을 유지한 채 포지션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기계적 분할매매의 힘을 빌릴 수밖에 없다. 이것이 트레이딩 수익 극대화에 있어서 가장 효과적인 방법임을 그동안 시간과 시장이 증명해왔다.

Part.5 제2의 본성으로 기르는 투자 DNA 260p

다섯 번째 파트에서는 자신이 경험해 온 주변 상황들을 통해 21가지의 투자 가치관을 제시했다. 기계적인 분할매매, 자신의 시나리오 대로 투자원칙을 반드시 지킬 것. 예상과 다르게 흘러갈 때 시나리오를 점검할 것.

수익이 났다고 성급하게 매도하지 말 것. 잦은 트레이딩은 수수료와 세금 등 거래비용의 부담을 늘리고 수익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지양할 것. 무엇을 판매하는지도 모르는 기업에 투자하지 말 것.

파트 2는 저자의 경영컨설턴트 생활과 펀드매니저 생활기가 담겨있다. 크게 참고할 것은 없고, 가볍게 읽어도 된다. 여기서는 철저하게 분석하고 예측하고 헤드 매니저와의 열띤 토론 끝에 포지션을 조정하는 등의 이야기가 나오는데 그만큼 투자할 곳의 기업분석은 확실히 하라는 교훈을 준다.

특히, 그 금액이 크면 클수록 더 철저해야 된다는 것이다. 개인의 경우, 조금 다를 수는 있겠지만.

728x90
반응형